정법. 듣고 쓰기

정법, '공부를 한다'를 이렇게 이해하는게 맞을까?

공부생 2021. 12. 30. 17:30
728x90

현재시간 저녁 5시. 떡볶이를 하는 중이다.

 

 

떡볶이 재료를 모조리 넣었다. 그리고, 끓는 동안 글을 쓸 계획이다. 지금 이미 글이 시작되었다. 오늘 주제는 '공부로 해라'이다.

 

 

 

1. '공부를 한다?'-

 

정법에선, 항상 이런 말씀을 하신다. '무엇을 하든 공부로 해라'. 항상 '명분'의 중요성을 말씀하신다. 사업을 하든, 직장에 나가든, 건달로 있든, 너는 공부하는 중이라는 것을 명심하라고 하신다. 나는 처음에 이 말이 무슨 말인지를 몰랐다. 아니 사실 지금도 긴가 민가 하다. 

 

 

특히, 이런 말씀은 해석이 어렵다. "대한민국엔 아직 대통령이 나온 적이 없다. 대통령 공부하라고 자리에 앉혀놨더니, 대통령인 줄 착각하고 있다."

 

 

공부로 한다? 공부를 삼는다? 공부를 할 때, 올바로 가고 있는 것이다라고 하셨다. '아니 대통령에 앉아 있는 사람에게, 대통령 공부를 하라니.. 사장인 사람에게 사장 공부를 하라니.. 이게 무슨 말인가?' 나는 아직 이 말의 깊이를 절반도 이해 못한 것 같다.

 

 

 

2. '모든 환경은 공부 재료다?'-

 

또, 30대까지는 '모든 환경이 공부'라고 하셨다. 돈을 많이 줬든, 적게 줬든, 가난하든, 고아이든, 백수이든, 어떤 환경도 필요해서 온 것이라고 하신다. 그것을 그대로 쓸어마시라고 하신다. 흡수하라 하신다. 그럴 때, 정확하게 내 공부가 된다고 하신다.

 

 

한 편으론 이해가 되면서, 또 한 편으로는 모호하게 느껴진다. 내가 옳다라는 식이 있는 것은 아니다. 그냥 진의(뜻)가 궁금할 뿐이다. 세상에 바른 법을 알려주시는 분이 스승님이고, 바른 길이 곧 정법이라. 나는 그 바른 법이 궁금하다. 왜? '시행착오를 줄이고 싶어서'라고 하면 솔직한 답일 것이다.

 

 

시행착오를 줄인다? 공부한다? 어쩌면, 이것에서 힌트를 얻을 수 있겠다. 실패를 해도, 실패가 아닌 시행착오로 여기는 것. 즉, '실패자'라는 낙인을 찍지 않는 것이다. 이는 매우 중요해보인다. '실패자' 혹은 '낙오자'라는 정체성 하나 때문에, 자살을 할 수도 있으니 말이다. '아직 공부중이다'라는 정체성을 가지면, 어떤 환경도 나를 헤칠 수 없을 것만 같다. 그렇지 않을까?

 

 

위는 내 나름대로 해석한, 논리의 당위성에 불과하다. 공부로 삼아야 하는 이유가, '자살하지 않기 위해서' 따위의 합리화일리는 없다고 생각한다. 실제로, '공부를 한다는 것이 왜 진실인지'는 아직 찾아내지 못했다. 한 번, 화두로 잡고 한동안을 보내봐야겠다. 얼마 안있어 답이 저절로 풀리면, 이 블로그에 정리해보겠다.

 

 

 

 

3. 공부 목적 찾기-

 

사실, 어려운 환경을 불평불만 안하고 공부하는 것은, 그리 쉽지만은 않다. 적어도 나에게는, 적어도 처음에는 절대 쉽지 않았다. 지금도 어렵다. 이것이 공부인가? 공부라면 어떤 것을 깨우치려는 공부인가? 인내심 공부인가? 아니면, 무언가를 찾아내려는 숨은 의도가 있는가? 사람 공부인가? 반면교사인가? 그것을 찾아내는게 쉽지 않다는 뜻이다.

 

 

왜일까? 내가 무지해서일까? 다른 정법 가족들은 어떨지 궁금하다. 이 말인 즉슨, 괜히 비교해보고자 하는, 내 무의식 속 욕망 때문일 것이다. 이럴 때일수록, 남보다 잘났다고 껍적대지 않고, 못났다고 해서 울적해하지 말아야겠다. 적어도 이성은 그렇게 판단하고 있다만은, 내 안의 동물적 본능은 자꾸만 욕망의 프로세스로 딸려가는 것 같다.

 

 

스승님이 말씀하셨다. 사람마다 공부는 다르다고. 시장 속에서 공부를 해야 하는 사람이 있고. 자연에서 공부를 해야 하는 사람이 있고. 혼자서 수행하며 공부해야 하는 사람이 있고, 각자마다 환경이 다 다르다고 하셨다. 나는 궁금하다. 나는 과연 어떤 공부를 해야 맞는걸까?

 

 

더불어서 이 말씀이 떠오른다. '공부의 때(시)가 있다. 공부를 마치면, 반드시 이동수가 일어난다' 이 말은 과연 무슨 뜻일까? 정말 궁금하다.

 

 

 

정리-

 

1)모든 환경은 공부이다. 공부하고 있다고 인식하는게, 바른 법이다. 

 

2)바른 법으로 살 때, 절대 어려움을 겪지 않게 되어있다(라고 하셨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