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법. 듣고 쓰기
정법, 좋은 관상 만들기
공부생
2022. 4. 23. 14:50
728x90
현재시간 2시 32분
물멍을 때리고 왔다. 요즘은 물멍을 하며 정법을 듣는다. 고요하니 더 잘 들리는 것 같다.
신기하다. 단전호흡이 저절로 된다. 정법을 들어서일까? 물멍의 효과일까? 아니면, 둘이 합한 효과일까? 신기한 것은, 정화된 느낌이 든다는 점이다.
한강에서 정법을 듣고, 집으로 걸어오는 중이었다. 요즘은 왜 이리 눈물이 날까? 정법에 따르면, 눈물을 흘릴 때 정화가 된다는데.. 그런걸까? 그냥 과거가 많이 반성이 된다. '눈앞의 사람에게 뭘 해드릴까? 저 사람은 뭘 필요로 할까?'를 떠올리면, 눈물이 흐르려고 한다. 맨날 듣는 정법 사행도인데 불구하고 말이다.
그런 면에서, 사람의 관상이란 참 정직한 것 같다. 타고난 얼굴은 어쩔 수 없지만, 40이 되면 얼굴에 책임져야 한다는 말이 있다. 어떤 생각, 어떤 마음을 갖고 살았느냐에 따라, 얼의 골이 형성된다.
스승님의 용안을 보면, 눈썹이 하회탈 모양이다. 눈은 매섭지만, 인당을 포함한 눈썹 부분에 주름이 하나도 없다. 백종원 또한 마찬가지다. 잘생긴 얼굴은 아니었지만, 점차 나이가 들어가며 인상이 매우 좋아지는걸 볼 수 있다. 한국에서 백종원 대표 만큼 인상 좋은 분을 본 적 없다.
계속해서 정화하면, 나도 스승님처럼 얼굴이 변할 수 있을까? 온화해지고 싶다. 사람을 즐겁게 하는, 기분 좋게 하는 얼굴을 갖고 싶다. 내가 그런 것을 원하기 때문이다. 곁에 있어 보기만 해도 웃음이 나는 사람이 있다. 그런 사람 옆에 있으면 절로 힐링이 된다. 그런 사람을 원하면, 내가 그런 사람이 되면 된다. 그럼, 내 주위 사람은 다른 곳으로 힐링 찾으러 안가도 된다.
이런 생각들을 할수록, 호흡이 더욱 편해지는 것 같다. 한강에서 물멍 때릴 때는, 가슴이 답답했다. 그러나, 오면서 반성을 하고 생각이 바뀌어갔다. 그 과정에서, 정화가 일어난걸까? 집에서 이 글을 쓰면서, 가슴, 배, 단전까지 후련하다. 울컥울컥하면서 말이다. '과거 왜 그렇게 힘들게 살았을까?' 회한이 절로 일어나는 느낌이다.